맨위로가기

UEFA 유로 2004 예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UEFA 유로 2004 예선은 2004년 포르투갈에서 개최된 UEFA 유로 2004 본선 진출팀을 가리기 위한 예선 대회이다. 2002년 1월 조 추첨을 시작으로, 10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으며,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했다. 각 조 2위 팀들은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을 다퉜다. 그 결과, 개최국 포르투갈을 포함하여 프랑스, 체코, 스웨덴, 불가리아, 덴마크, 독일, 그리스, 잉글랜드, 이탈리아, 스위스, 크로아티아, 라트비아, 네덜란드, 스페인, 러시아가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UEFA 유로 2004 - UEFA 유로 2004 결승전
    UEFA 유로 2004 결승전은 2004년 7월 4일 그리스가 포르투갈을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경기로, 앙겔로스 하리스테아스의 헤딩골로 승리했으며, 테오도로스 자고라키스가 대회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 UEFA 유로 2004 - UEFA 유로 2004 개최국 선정
    포르투갈은 UEFA 유로 2004 개최국 선정 투표에서 10개의 경기장 유치를 제안하여 스페인을 제치고 최종 개최국으로 결정되었으며,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공동 개최 제안은 인프라 부족으로 실패했다.
  • UEFA 유로 2004 예선 - UEFA 유로 2004 예선 2조
    UEFA 유로 2004 예선 2조는 덴마크, 노르웨이, 루마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룩셈부르크가 속했으며, 덴마크가 1위로 본선에 진출하고 노르웨이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며, 룩셈부르크는 최하위에 머물렀다.
  • UEFA 유로 2004 예선 - UEFA 유로 2004 예선 10조
    UEFA 유로 2004 예선 10조는 스위스가 1위, 러시아가 2위를 차지하며, 아일랜드, 알바니아, 조지아가 그 뒤를 이었고, 스위스의 알렉산더 프라이가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UEFA 유로 2000 예선
    UEFA 유로 2000 예선은 1998년 9월부터 1999년 10월까지 9개 조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은 본선에 직행하고, 각 조 2위 팀 중 승점이 가장 높은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 UEFA 유로 1992 예선
    UEFA 유로 1992 예선은 33개국이 참가하여 7개 조로 나뉘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유럽 지역 예선로, 독일 재통일과 유고슬라비아의 출전 금지라는 변수가 있었다.
UEFA 유로 2004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명칭UEFA 유로 2004 예선
기간2002년 9월 7일 – 2003년 11월 19일
참가 팀 수50
경기 수211
골 수566
최다 득점자에르민 실랴크(슬로베니아) (9골)
이전 대회2000
다음 대회2008

2. 시드 배정

2002년 1월 25일포르투갈 포르투에서 UEFA 유로 2004 예선 조 추첨이 진행되었다.[2][3] 예선 참가 팀들의 시드는 UEFA 유로 2000 예선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 획득한 경기당 평균 승점을 기준으로 배정되었다.[4][5]


  • 포르투갈은 UEFA 유로 2004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하여 예선에는 참가하지 않았다.
  • 프랑스UEFA 유로 2000 우승 팀 자격으로 자동으로 포트 A에 배정되었다.[6][7][8]
  • 프랑스는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1998년 FIFA 월드컵 우승 팀 자격으로 자동 출전했기 때문에 UEFA 유로 2000 예선 성적만 반영되었다.
  • 벨기에네덜란드는 UEFA 유로 2000 공동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출전했기 때문에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성적만 반영되었다.


포트 A포트 B포트 C포트 D포트 E



각 포트에서 한 팀씩 추첨하여 10개의 조가 구성되었다.[2][3]

3. 순위 결정 방식

UEFA 유로 2004 예선에서 2개 이상의 팀의 승점이 같다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 동률 팀 간의 승점

# 동률 팀 간의 골득실

# 동률 팀 간의 다득점

# 동률 팀 간의 원정 다득점

# 동률 팀 간의 승점, 골득실, 다득점, 원정 다득점이 같은 경우에는 1)에서 4)의 순서를 반복한다. 이후에도 순위가 같다면 다음 순서에 따른다.

# 모든 조별 리그 경기에 대하여:

## 골득실

## 다득점

## 원정 다득점

## 페어 플레이 점수

# 추첨

4. 조별 리그

UEFA 유로 2004 본선에 직행한 조 1위 팀은 다음과 같다.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조 2위 팀은 다음과 같다.

== 1조 ==

프랑스는 8전 전승으로 UEFA 유로 2004 본선에 직행하였다. 슬로베니아는 4승 2무 2패를 기록하며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스라엘은 2승 3무 3패, 키프로스는 2승 2무 4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몰타는 1무 7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
프랑스248800292+27
슬로베니아1484221512+3
이스라엘98233911-2
키프로스88224918-9
몰타18017524-19



프랑스는 슬로베니아와의 첫 경기에서 5-0 대승을 거두었고, 이스라엘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2-1로 승리하였다. 이후 프랑스는 키프로스와 몰타를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슬로베니아는 이스라엘과의 홈 경기에서 3-1로 승리하고, 키프로스와 몰타를 꺾으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했다. 이스라엘은 슬로베니아와의 원정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고, 몰타와의 홈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거두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 2조 ==

2조는 덴마크가 4승 3무 1패, 승점 15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다. 노르웨이는 4승 2무 2패, 승점 14점으로 루마니아와 승점이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상대 전적 1승 1무, 합계 2-1로 앞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승점 13점으로 4위, 룩셈부르크는 8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
덴마크158431159+6
노르웨이14842295+4
루마니아148422219+1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3841378-1
룩셈부르크08008021-21



2002년 9월 7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덴마크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스타디온 코셰보에서 루마니아에게 0-3으로 패배했다. 2002년 10월 12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스테아우아에서 노르웨이에게 0-1로 패배했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룩셈부르크를 2-0으로 이겼다.

2002년 10월 16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2-0으로 이겼고,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루마니아에게 0-7로 대패했다. 2003년 3월 29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나치오날에서 덴마크에게 2-5로 패배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빌리노 폴레에서 룩셈부르크를 2-0으로 이겼다.

2003년 4월 2일,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노르웨이에게 0-2로 패배했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게 0-2로 패배했다. 2003년 6월 7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이온 오브레멘코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2-0으로 이겼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노르웨이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6월 11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루마니아와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덴마크에게 0-2로 패배했다. 2003년 9월 6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아스트라에서 룩셈부르크를 4-0으로 이겼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빌리노 폴레에서 노르웨이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9월 10일,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게 0-1로 패배했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루마니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3년 10월 11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룩셈부르크를 1-0으로 이겼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스타디온 코셰보에서 덴마크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 3조 ==

3조에서는 체코가 7승 1무(승점 22점)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고, 네덜란드가 6승 1무 1패(승점 19점)로 2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오스트리아는 3승 5패(승점 9점)로 3위, 몰도바는 2승 6패(승점 6점)로 4위, 벨라루스는 1승 7패(승점 3점)로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체코와 네덜란드는 두 번의 맞대결에서 모두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3년 3월 29일 로테르담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판 니스텔로이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콜레르가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로 끝났다. 2003년 9월 10일 프라하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콜레르의 선제골과 포보르스키의 추가골, 바로시의 쐐기골로 체코가 앞서갔으나, 판 데르 파르트가 한 골을 만회하며 3-1로 체코가 승리했다.

승점경기
체코228710235+18
네덜란드198611206+14
오스트리아983051214-2
몰도바68206519-14
벨라루스38107420-16



 
체코-3-14-05-02-0
네덜란드1-1-3-15-03-0
오스트리아2-30-3-2-05-0
몰도바0-21-21-0-2-1
벨라루스1-30-20-22-1-



== 4조 ==

4조는 스웨덴, 라트비아, 폴란드, 헝가리, 산마리노로 구성되어 있었다. 스웨덴은 8경기에서 5승 2무 1패(승점 17점)를 기록하며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라트비아는 5승 1무 2패(승점 16점)로 스웨덴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폴란드는 4승 1무 3패(승점 13점)로 3위, 헝가리는 3승 2무 3패(승점 11점)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산마리노는 8전 전패(승점 0점)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스웨덴과 라트비아는 2002년 9월 7일 리가의 스코ント 스타디온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0-0으로 비겼다. 같은 날 산마리노 세라발레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폴란드가 산마리노를 2-0으로 이겼다.

2003년 10월 11일, 솔나의 로순다 스타디온에서 열린 스웨덴과 라트비아의 마지막 경기에서 라트비아가 1-0으로 승리하며 스웨덴(승점 17점)과 승점 1점 차이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승점경기
스웨덴178521193+16
라트비아168512106+4
폴란드138413117+4
헝가리118323159+6
산마리노08008030-30



 
스웨덴-0-13-01-15-0
라트비아0-0-0-23-13-0
폴란드0-20-1-0-05-0
헝가리1-23-11-2-3-0
산마리노0-60-10-20-5-



== 5조 ==

5조는 독일이 5승 3무, 승점 18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다. 스코틀랜드는 4승 2무 2패, 승점 14점으로 조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아이슬란드는 4승 1무 3패, 승점 13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리투아니아는 3승 1무 4패, 승점 10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페로 제도는 1무 7패, 승점 1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
독일188530134+9
스코틀랜드148422128+4
아이슬란드138413119+2
리투아니아108314711-4
페로 제도18017718-11



2002년 9월 7일, 리투아니아독일의 경기에서는 발락과 스탄케비치우스의 자책골로 독일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페로 제도스코틀랜드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2002년 10월 12일, 리투아니아페로 제도를 2-0으로 이겼고, 아이슬란드스코틀랜드에 0-2로 패배했다. 10월 16일, 아이슬란드리투아니아를 3-0으로 꺾었고, 독일페로 제도에 2-1 승리를 거두었다.

2003년 3월 29일, 스코틀랜드아이슬란드를 2-1로 이겼고, 독일리투아니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4월 2일, 리투아니아스코틀랜드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6월 7일, 스코틀랜드독일은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아이슬란드페로 제도에 2-1로 승리했다. 6월 11일, 리투아니아아이슬란드에 0-3으로 패배했고, 페로 제도독일에 0-2로 패배했다.

2003년 8월 20일, 페로 제도아이슬란드에 1-2로 패배했다. 9월 6일, 스코틀랜드페로 제도를 3-1로 이겼고, 아이슬란드독일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3년 9월 10일, 독일스코틀랜드에 2-1로 승리했고, 페로 제도리투아니아에 1-3으로 패배했다. 10월 11일, 스코틀랜드리투아니아를 1-0으로 이겼고, 독일아이슬란드를 3-0으로 꺾었다.

== 6조 ==

승점경기
그리스18860284+4
스페인178521164+12
우크라이나1082421110+1
아르메니아78215716-9
북아일랜드3803508-8



6조는 그리스, 스페인, 우크라이나, 아르메니아,

4. 1. 1조

프랑스는 8전 전승으로 UEFA 유로 2004 본선에 직행하였다. 슬로베니아는 4승 2무 2패를 기록하며 조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이스라엘은 2승 3무 3패, 키프로스는 2승 2무 4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몰타는 1무 7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
프랑스248800292+27
슬로베니아1484221512+3
이스라엘98233911-2
키프로스88224918-9
몰타18017524-19



프랑스는 슬로베니아와의 첫 경기에서 5-0 대승을 거두었고, 이스라엘과의 원정 경기에서는 2-1로 승리하였다. 이후 프랑스는 키프로스와 몰타를 상대로 연승을 거두며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다. 슬로베니아는 이스라엘과의 홈 경기에서 3-1로 승리하고, 키프로스와 몰타를 꺾으며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확보했다. 이스라엘은 슬로베니아와의 원정 경기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하고, 몰타와의 홈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거두는 등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4. 2. 2조

2조는 덴마크가 4승 3무 1패, 승점 15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다. 노르웨이는 4승 2무 2패, 승점 14점으로 루마니아와 승점이 같았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상대 전적 1승 1무, 합계 2-1로 앞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승점 13점으로 4위, 룩셈부르크는 8전 전패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
덴마크158431159+6
노르웨이14842295+4
루마니아148422219+1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13841378-1
룩셈부르크08008021-21



2002년 9월 7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덴마크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같은 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스타디온 코셰보에서 루마니아에게 0-3으로 패배했다. 2002년 10월 12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스테아우아에서 노르웨이에게 0-1로 패배했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룩셈부르크를 2-0으로 이겼다.

2002년 10월 16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2-0으로 이겼고,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루마니아에게 0-7로 대패했다. 2003년 3월 29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나치오날에서 덴마크에게 2-5로 패배했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빌리노 폴레에서 룩셈부르크를 2-0으로 이겼다.

2003년 4월 2일,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노르웨이에게 0-2로 패배했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게 0-2로 패배했다. 2003년 6월 7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이온 오브레멘코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2-0으로 이겼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노르웨이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6월 11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루마니아와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덴마크에게 0-2로 패배했다. 2003년 9월 6일, 루마니아는 스타디오눌 아스트라에서 룩셈부르크를 4-0으로 이겼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빌리노 폴레에서 노르웨이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9월 10일, 룩셈부르크스타드 요지 바르텔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게 0-1로 패배했고, 덴마크는 파르켄 스타디온에서 루마니아와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3년 10월 11일, 노르웨이울레볼 스타디온에서 룩셈부르크를 1-0으로 이겼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스타디온 코셰보에서 덴마크와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4. 3. 3조

3조에서는 체코가 7승 1무(승점 22점)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고, 네덜란드가 6승 1무 1패(승점 19점)로 2위를 차지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오스트리아는 3승 5패(승점 9점)로 3위, 몰도바는 2승 6패(승점 6점)로 4위, 벨라루스는 1승 7패(승점 3점)로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체코와 네덜란드는 두 번의 맞대결에서 모두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3년 3월 29일 로테르담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판 니스텔로이가 선제골을 넣었지만 콜레르가 동점골을 넣어 1-1 무승부로 끝났다. 2003년 9월 10일 프라하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콜레르의 선제골과 포보르스키의 추가골, 바로시의 쐐기골로 체코가 앞서갔으나, 판 데르 파르트가 한 골을 만회하며 3-1로 체코가 승리했다.

승점경기
체코228710235+18
네덜란드198611206+14
오스트리아983051214-2
몰도바68206519-14
벨라루스38107420-16



 
체코-3-14-05-02-0
네덜란드1-1-3-15-03-0
오스트리아2-30-3-2-05-0
몰도바0-21-21-0-2-1
벨라루스1-30-20-22-1-


4. 4. 4조

4조는 스웨덴 라트비아 폴란드 헝가리 산마리노로 구성되어 있었다. 스웨덴은 8경기에서 5승 2무 1패(승점 17점)를 기록하며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라트비아는 5승 1무 2패(승점 16점)로 스웨덴에 이어 조 2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폴란드는 4승 1무 3패(승점 13점)로 3위, 헝가리는 3승 2무 3패(승점 11점)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산마리노는 8전 전패(승점 0점)로 최하위에 머물렀다.

스웨덴과 라트비아는 2002년 9월 7일 리가의 스코ント 스타디온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0-0으로 비겼다. 같은 날 산마리노 세라발레스타디오 올림피코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폴란드가 산마리노를 2-0으로 이겼다.

2003년 10월 11일, 솔나의 로순다 스타디온에서 열린 스웨덴과 라트비아의 마지막 경기에서 라트비아가 1-0으로 승리하며 스웨덴(승점 17점)과 승점 1점 차이로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승점경기
스웨덴178521193+16
라트비아168512106+4
폴란드138413117+4
헝가리118323159+6
산마리노08008030-30



 
스웨덴-0-13-01-15-0
라트비아0-0-0-23-13-0
폴란드0-20-1-0-05-0
헝가리1-23-11-2-3-0
산마리노0-60-10-20-5-


4. 5. 5조

5조는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이 5승 3무, 승점 18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다. 스코틀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4승 2무 2패, 승점 14점으로 조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4승 1무 3패, 승점 13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리투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3승 1무 4패, 승점 10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페로 제도 축구 국가대표팀은 1무 7패, 승점 1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승점경기
독일188530134+9
스코틀랜드148422128+4
아이슬란드138413119+2
리투아니아108314711-4
페로 제도18017718-11



2002년 9월 7일, 리투아니아독일의 경기에서는 미하엘 발락과 마리우스 스탄케비치우스의 자책골로 독일이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페로 제도스코틀랜드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2002년 10월 12일, 리투아니아페로 제도를 2-0으로 이겼고, 아이슬란드스코틀랜드에 0-2로 패배했다. 10월 16일, 아이슬란드리투아니아를 3-0으로 꺾었고, 독일페로 제도에 2-1 승리를 거두었다.

2003년 3월 29일, 스코틀랜드아이슬란드를 2-1로 이겼고, 독일리투아니아는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4월 2일, 리투아니아스코틀랜드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6월 7일, 스코틀랜드독일은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아이슬란드페로 제도에 2-1로 승리했다. 6월 11일, 리투아니아아이슬란드에 0-3으로 패배했고, 페로 제도독일에 0-2로 패배했다.

2003년 8월 20일, 페로 제도아이슬란드에 1-2로 패배했다. 9월 6일, 스코틀랜드페로 제도를 3-1로 이겼고, 아이슬란드독일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

2003년 9월 10일, 독일스코틀랜드에 2-1로 승리했고, 페로 제도리투아니아에 1-3으로 패배했다. 10월 11일, 스코틀랜드리투아니아를 1-0으로 이겼고, 독일아이슬란드를 3-0으로 꺾었다.

4. 6. 6조

{

승점경기
그리스18860284+4
스페인178521164+12
우크라이나1082421110+1
아르메니아78215716-9
북아일랜드3803508-8



6조는 그리스, 스페인, 우크라이나, 아르메니아, 북아일랜드가 속해 있었다. 그리스가 6승 2패, 승점 18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스페인은 5승 2무 1패, 승점 17점으로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우크라이나는 2승 4무 2패, 승점 10점으로 3위를 기록했다. 아르메니아는 2승 1무 5패, 승점 7점으로 4위를 기록했다. 북아일랜드는 3무 5패, 승점 3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경기 결과를 살펴보면, 스페인은 2002년 9월 7일 그리스와의 원정 경기에서 2-0으로 승리했고, 같은 날 아르메니아는 우크라이나와 2-2로 비겼다. 2002년 10월 12일, 우크라이나는 그리스를 2-0으로 이겼고, 스페인은 북아일랜드를 3-0으로 완파했다. 2002년 10월 16일, 북아일랜드와 우크라이나는 0-0으로 비겼고, 그리스는 아르메니아를 2-0으로 이겼다.

2003년 3월 29일, 우크라이나와 스페인은 2-2로 비겼고, 아르메니아는 북아일랜드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4월 2일, 스페인은 아르메니아에 3-0 승리를 거두었고, 북아일랜드는 그리스에 0-2로 패했다. 2003년 6월 7일, 우크라이나는 아르메니아를 4-3으로 이겼고, 스페인은 그리스에 0-1로 패했다.

2003년 6월 11일, 북아일랜드와 스페인은 0-0 무승부를 기록했고, 그리스는 우크라이나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9월 6일, 우크라이나와 북아일랜드는 0-0으로 비겼고, 아르메니아는 그리스에 0-1로 패했다. 2003년 9월 10일, 북아일랜드는 아르메니아에 0-1로 패했고, 스페인은 우크라이나를 2-1로 이겼다.

2003년 10월 11일, 아르메니아는 스페인에 0-4로 대패했고, 그리스는 북아일랜드를 1-0으로 이기면서 조 1위를 확정지었다.

4. 7. 7조

UEFA 유로 2004 예선 7조에서는 잉글랜드가 6승 2무, 무패의 성적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튀르키예는 6승 1무 1패로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슬로바키아는 3승 1무 4패(승점 10점)로 3위,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1승 3무 4패(승점 6점)로 4위, 리히텐슈타인은 1무 7패(승점 1점)로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7조의 경기들은 2002년 9월 7일부터 2003년 10월 11일까지 진행되었다. 잉글랜드와 튀르키예가 본선 진출을 위해 경합을 벌였으며, 슬로바키아, 마케도니아 공화국, 리히텐슈타인은 상대적으로 약체로 평가되었다. 잉글랜드는 2002년 10월 16일 홈에서 열린 마케도니아 공화국과의 경기에서 2-2 무승부를 기록하며 초반에 주춤했지만, 이후 안정적인 경기력을 보이며 선두를 유지했다. 튀르키예는 2003년 4월 2일 잉글랜드 원정 경기에서 0-2로 패배했지만, 다른 경기에서 꾸준히 승점을 쌓으며 2위 자리를 지켰다.

2003년 10월 11일,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열린 잉글랜드와 튀르키예의 최종전은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는 7조 1위 자리를 결정짓는 중요한 경기였으며, 양 팀 모두 치열한 경기를 펼쳤으나 득점에는 실패했다. 이로써 잉글랜드가 1위를 확정지었고, 튀르키예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본선 진출을 노리게 되었다.

승점경기
잉글랜드208620145+9
터키198611175+12
슬로바키아108314119+2
북마케도니아681341114-3
리히텐슈타인18017222-20



4. 8. 8조

8조에서는 불가리아가 5승 2무 1패, 승점 17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다. 크로아티아는 5승 1무 2패, 승점 16점으로 벨기에와 승점 및 상대 전적(1승 1패)에서 동률을 이루었으나, 승자승 원칙에 따라 합계 5-2로 앞서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벨기에는 5승 1무 2패, 승점 16점을 기록했으나 크로아티아에 밀려 조 3위를 기록했다. 에스토니아는 2승 2무 4패, 승점 8점으로 4위, 안도라는 8전 전패, 승점 0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하였다.

승점경기
불가리아178521134+9
크로아티아168512124+8
벨기에168512119+2
에스토니아8822446-2
안도라08008118-17



불가리아는 에스토니아와의 2003년 9월 6일 경기에서 페트로프와 베르바토프의 득점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2003년 10월 11일 크로아티아는 올리치의 결승골로 불가리아를 1-0으로 꺾었다. 벨기에는 2003년 10월 11일 에스토니아와의 경기에서 상대 et의 자책골과 부페르의 득점으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4. 9. 9조

9조에서는 이탈리아가 5승 2무 1패, 승점 17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하였다. 웨일스는 승점 13점으로 2위를 기록했다.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승점 12점으로 3위, 핀란드는 승점 10점으로 4위, 아제르바이잔은 승점 4점으로 5위를 기록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2003년에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호를 변경하였다.

승점경기
이탈리아178521174+13
웨일스1384131310+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12833211110
핀란드108314910-1
아제르바이잔48116520-15



 
이탈리아-4-01-12-04-0
웨일스2-1-2-31-14-0
세르비아 몬테네그로1-11-0-2-02-2
핀란드0-20-23-0-3-0
아제르바이잔0-20-22-11-2-



2002년 9월 7일, 핀란드는 헬싱키에서 웨일스에 0-2로 패배했다. 같은 날 아제르바이잔은 바쿠에서 이탈리아에 0-2로 패배했다. 2002년 10월 12일, 이탈리아는 나폴리에서 유고슬라비아와 1-1로 비겼다. 같은 날 핀란드는 헬싱키에서 아제르바이잔을 3-0으로 이겼다. 2002년 10월 16일, 유고슬라비아는 베오그라드에서 핀란드를 2-0으로 이겼다. 같은 날 웨일스는 카디프에서 이탈리아를 2-1로 이겼다. 2002년 11월 20일, 아제르바이잔은 바쿠에서 웨일스에 0-2로 패배했다.

2003년 2월 12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포드고리차에서 아제르바이잔과 2-2로 비겼다. 2003년 3월 29일, 웨일스는 카디프에서 아제르바이잔을 4-0으로 이겼고, 이탈리아는 팔레르모에서 핀란드를 2-0으로 이겼다. 2003년 6월 7일, 핀란드는 헬싱키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3-0으로 이겼다. 2003년 6월 11일, 핀란드는 헬싱키에서 이탈리아에 0-2로 패배했고, 아제르바이잔은 바쿠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2-1로 이겼다.

2003년 8월 20일,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베오그라드에서 웨일스를 1-0으로 이겼다. 2003년 9월 6일, 이탈리아는 밀라노에서 웨일스를 4-0으로 이겼고, 아제르바이잔은 바쿠에서 핀란드에 1-2로 패배했다. 2003년 9월 10일, 웨일스는 카디프에서 핀란드와 1-1로 비겼고,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베오그라드에서 이탈리아와 1-1로 비겼다. 2003년 10월 11일, 웨일스는 카디프에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2-3으로 패배했고, 이탈리아는 레조 디 칼라브리아에서 아제르바이잔을 4-0으로 이겼다.

4. 10. 10조

UEFA 유로 2004 예선 10조는 스위스, 러시아, 아일랜드, 알바니아, 조지아로 구성되었다. 각 팀은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총 8경기를 치렀다.

경기 결과, 스위스가 4승 3무 1패(승점 15점)로 조 1위를 차지하여 본선에 직행했다. 러시아는 4승 2무 2패(승점 14점)로 조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아일랜드는 3승 2무 3패(승점 11점)로 조 3위, 알바니아는 2승 2무 4패(승점 8점)로 조 4위, 조지아는 2승 1무 5패(승점 7점)로 조 5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승점경기
스위스1584311511+4
러시아1484221912+7
아일랜드1183231011-1
알바니아882241115-4
조지아78215814-6



 
스위스-2-22-03-24-1
러시아4-1-4-24-13-1
아일랜드1-21-1-2-12-0
알바니아1-13-10-0-3-1
조지아0-01-01-23-0-



주요 경기들을 살펴보면, 2003년 9월 7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열린 러시아와 아일랜드의 경기는 카리야카의 선제골과 베스샤스트니흐의 추가골, 케르자코프의 쐐기골과 바브의 자책골에 힘입어 러시아가 4-2로 승리했다. 아일랜드는 도허티와 모리슨이 골을 넣으며 추격했지만 역부족이었다.

2003년 9월 10일, 스위스는 러시아와의 원정 경기에서 부리킨에게 해트트릭을 허용하며 1-4로 대패했다. 스위스는 카리야카의 자책골로 한 점을 만회하는 데 그쳤다.

2003년 10월 11일, 스위스는 바젤에서 열린 아일랜드와의 홈 경기에서 H. 야킨프라이의 연속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5. 플레이오프

UEFA 유로 2004 예선 각 조 2위를 차지한 10개 팀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2003년 11월 15일과 11월 19일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 크로아티아막시미르에서 열린 1차전에서 실략에게 선제골을 내주었으나, 프르쇼의 동점골로 1-1 무승부를 기록했다. 베지그라드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프르쇼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어 합계 2-1로 본선에 진출했다.
  • 스페인메스타야에서 열린 1차전에서 이베르센에게 선제골을 내주었으나, 라울과 H・베르그의 자책골로 2-1 역전승을 거두었다. 울레볼에서 열린 2차전에서는 라울, 빈센테, 에체베리아의 연속골로 3-0 완승을 거두어 합계 5-1로 본선에 진출했다.
  • 러시아는 로코모티프 스타디움에서 열린 1차전에서 웨일스와 0-0으로 비겼으나, 밀레니엄에서 열린 2차전에서 예브세예프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어 합계 1-0으로 본선에 진출했다.
  • 네덜란드햄던 파크에서 열린 1차전에서 맥패든에게 결승골을 허용하며 0-1로 패했으나,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2차전에서 스네이더, 오이예르, 판 니스텔로이의 해트트릭, F・데 부르의 연속골로 6-0 대승을 거두어 합계 6-1로 본선에 진출했다.
  • 라트비아는 스코토에서 열린 1차전에서 베르파코프스키스의 결승골로 1-0 승리를 거두었고, 튀르키예의 이니외뉘에서 열린 2차전에서 만시즈, 쉬퀴르에게 실점했으나, 라이잔스와 베르파코프스키스의 골로 2-2 무승부를 기록, 합계 3-2로 사상 첫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6. 본선 진출팀



예선 통과 방식예선 통과 날짜과거 대회 출전 횟수
1999년 10월 12일3 (1984, 1996, 2000)
1조 1위2003년 9월 10일5 (1960, '1984', 1992, 1996, 2000)
3조 1위2003년 9월 10일5 (1960, 1976, 1980, 1996, 2000)
4조 1위2003년 9월 10일2 (1992, 2000)
8조 1위2003년 9월 10일1 (1996)
2조 1위2003년 10월 11일6 (1964, 1984, 1988, 1992, 1996, 2000)
5조 1위2003년 10월 11일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6조 1위2003년 10월 11일1 (1980)
7조 1위2003년 10월 11일6 (1968, 1980, 1988, 1992, 1996, 2000)
9조 1위2003년 10월 11일5 ('1968', 1980, 1988, 1996, 2000)
10조 1위2003년 10월 11일1 (1996)
2003년 11월 19일1 (1996)
2003년 11월 19일0 (첫 출전)
2003년 11월 19일6 (1976, 1980, 1988, 1992, 1996, 2000)
2003년 11월 19일6 ('1964', 1980, 1984, 1988, 1996, 2000)
2003년 11월 19일7 (1960, 1964, 1968, 1972, 1988, 1992, 1996)



참조

[1] 웹사이트 European Championship 2004 http://www.RSSSF.com[...]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04-07-07
[2] 웹사이트 European Championship 2004 Preliminary Competition (background notes) http://www.englandfo[...] englandfootballonline.com 2014-04-18
[3] 뉴스 Green light for EURO 2004 draw procedure https://www.uefa.com[...] Union of European Football Associations 2019-10-29
[4] 웹사이트 England's UEFA European Rankings 2001 http://www.englandfo[...] 2024-02-19
[5] 웹사이트 Coefficient rankings for the EURO 2004™ Qualification Draw https://www.uefa.com[...] 2024-02-19
[6] 웹사이트 England in the European Championship - 2002-03 Preliminary Competition http://www.englandfo[...] 2024-02-19
[7] 뉴스 France Named Top Seed for Euro 2004 https://www.michigan[...] 2024-02-19
[8] 웹사이트 Spotlight on EURO 2004™ draw {{!}} UEFA EURO https://www.uefa.com[...] 2024-02-19
[9] 웹사이트 UEFA European National Team Ranking Table 2001 http://www.englandfo[...] England Football Online 2022-06-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